시인 정정민/시

토끼풀 꽃

무정 정 정민 2016. 12. 19. 18:21

클로버/토끼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토끼풀꽃 詩 寫眞/茂正 鄭政敏 비 오는 길 섶 우산도 없이 온몸으로 비를 맞는 꽃아 갈증이 얼마나 길었기에 하늘을 보며 반가운 미소 멈추지 않느냐 생기 넘치는 모습 깨끗한 모습에 향기를 잠시 감추었어도 너에게로 간다 찰라 같은 세상 수많은 인연이 닿고 바람처럼 간다 해도 싱그런 너의 미소 어찌 잊으랴.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옮김 콩과(Leguminosae) 식물이다. 흔히 크로바, 클로버 등으로 많이 부르며 영어로는 white clover, Dutch clover 등으로 부른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인데 키는 한 뼘 정도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의 일부는 땅을 기며, 마디에서 수염뿌리를 낸다. 잎은 세 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꽃은 흰색이며, 작은 꽃들이 촘촘히 모여 전체적으로 공 모양의 꽃뭉치를 이루는 두상화서다. 봄과 여름에 꽃이 피어 지고 난 다음 다시 싱그런 꽃이 피는 것을 봤다. 열매는 꼬투리이며 씨가 너다섯 개 들어 있다. 목초용으로 재배하는데 이름 그대로 토끼가 즐겨 먹는다. 아일랜드(Ireland)의 국화(國花)로, 5.29, 6.17, 8.31의 탄생화이기도 하다. 워낙 친숙한 식물이라 그런지 세 날의 탄생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꽃말은 각각 순서대로 쾌활, 감화, 약속이다. 기독교의 성자인 성 패트릭이 아일랜드에서 선교활동을 벌일 때, 국왕과 귀족들 앞에서 클로버의 세 잎을 가지고 삼위일체를 비유하여 설교했다고 한다. 그래서 클로버는 아일랜드의 국화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세 잎이 각각 국민성과 용기와 기지를상징한다고 한다. 또한 네 잎 클로버는 십자가를 나타낸다 하여 행운의 상징이 되었고, 다섯 잎 클로버는 그것을 깨는 모양이라 하여 불길하게 여겨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편 [4H Club]출처: 브리태니커 인쇄하기관련태그 청소년단체 '실천을 통하여 배운다'는 취지하에 설립된 청소년 단체의 하나. 10~21세의 청소년들이 참여하며 약 80개국에 퍼져 있지만 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다. 4H 클럽의 상징은 각 잎마다 H자를 새긴 네 잎 클로버이고, 상징색은 녹색과 흰색이다. 4H라는 이름의 의미는 다음의 맹세에 나타나 있다. "나는 나의 클럽과 나의 공동체와 나의 나라를 위하여/ 나의 머리(Head)를 더 명철하게 생각하는 데/ 나의 가슴(Heart)을 더 위대한 자부심을 가지는 데/ 나의 손(Hand)을 더 큰 봉사를 하는 데/ 나의 건강(Health)을 더 나은 삶을 위해 바치기로 맹세한다". 이 단체는 20세기초 미국의 농촌 젊은이들 사이에서 생겨나기 시작하여 1924년경 일반화되었다. 미국에서는 농무부와 군(郡) 행정기구뿐 아니라 토지가 무상불하된 단과대학과 대학교의 공개강습을 통해 성인관리자들이 양성되었다. 1914년의 스미스레버 법 규정과 연이은 연방의회와 주 법령 아래 이들 기관은 관리자양성사업에 협력하고 있다. 4H클럽은 농촌 젊은이들의 조직만이 아니다. 농가의 50%, 농촌 비농가의 30%, 도시지역의 20%가량이 등록되어 있다. 규모는 다르지만 평균 24명의 회원을 가진 각 지역 클럽에서는 자체의 간사를 선출하고 청년지도자의 도움을 받는 1명 이상의 성인지도자의 안내와 지시를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4H클럽이 행하는 활동은 50여 가지가 넘는다. 예를 들어 널리 행해지는 농촌활동들 중에는 농작물 재배, 화원 가꾸기, 가금(家禽) 키우기, 암퇘지와 새끼돼지의 구매·사육·관리, 낙농우 키우기, 낙농축사 짓기, 판매용 식용우 키우기, 트랙터와 다른 농기구의 가동·유지·보수 등이 있다. 농촌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도시 젊은이들을 위해 개발된 전형적인 4H클럽 활동에는 자동차 정비와 안전, 개 보호와 훈련, 전기전자 실습, 실내정원 가꾸기, 잔디 깎는 기계의 작동 및 안전교육 등이 있다. 가정경제에 관한 사업으로는 음식준비, 바느질, 세간설비 마련과 같은 기초적인 활동이 있다. 또한 미국의 주요 연중행사 가운데 하나가 미국 4H클럽 대회로서, 4H 클럽 활동에서 뛰어난 업적을 보인 회원들에게 포상으로 '대표자'(delegate)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이 행사는 협동신장봉사단과 청소년의 클럽 활동을 위한 국립위원회가 함께 추진한다. 월간잡지 〈국립 4H 뉴스 National 4-H News〉를 발간하고 4H활동을 장려하는 국립위원회는 시민과 비영리법인의 사적인 후원으로 운영되는 자원봉사단체이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4H클럽이 결성되었지만 본격적인 활동이 있었던 것은 1960년대 이후였다. 민간주도형의 대표적인 계통적 지역사회운동이었지만, 정부가 농촌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교육을 목표로 착수한 것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중요한 모체가 되었다. 이 운동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1960년의 4·19혁명을 계기로 면면히 이어오던 대학생 중심의 농촌계몽운동이 거의 모든 대학에 농촌관계 대학생조직이 결성될 만큼 활기를 띠고 방학 때마다 많은 대학생들이 농촌으로 향하게 되면서, 1930년대에 보였던 이상주의적 농촌지역사회 계몽운동이 이 시기에 대학생 농촌운동으로 계승되었던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운동과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된 민간주도형의 지역사회운동인 '지역사회 개발사업'이 반관반민(半官半民)의 형태로 1958년 착수되었다가 정부의 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4H클럽 운동이 발전하는 하나의 계기를 형성했다. 4H클럽 운동은 농가나 부락에 대한 지원사업이 아니라 처음부터 농촌의 청소년지도사업을 목표로 사회교육적인 면을 강조한 운동이었다. 부락을 단위조직으로 하여 군연합회·도연합회·중앙협의회로 조직되어 있었지만 핵심적 운동단위는 부락이었고, 부락 청소년층에서 자생적인 지도자가 나왔다. 이처럼 지원사업에 바탕을 두지 않은 운동이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많은 농촌지도자층을 육성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정부주도의 새마을운동의 주역을 담당한 농촌지도층은 대부분 4H클럽 운동을 통해 육성된 사람들이었다. 이 사무실이 우리집 이었으니 네 잎 클로버를 달리 생각하기 힘듭니다. 형님과 누나는 이 활동을 참 많이 했었습니다. 클로버 토끼풀에 얽힌 사연은 아직도 많지만 다음 기회에 더 쓸께요.

 

고향에서/무정 정정민 염소를 키우며 토끼풀밭에서 실컷 먹게 했던 청소년기 양봉을 하며 이 꽃에서 꿀을 얻어오는 벌을 자주 보았다 이 꽃이 많이 핀 곳에서는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 토끼풀 꽃향기다 이 꽃에 얽힌 사연은 무궁하다 여자 친구와 서로 팔찌를 해준 적도 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