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 정 정민
2014. 8. 24. 13:43
2014. 8. 24. 13:43
의림지 1/제천
호수湖水
시. 사진/茂正 鄭政敏
내 마음이 호수라면
맑은 하늘을 가득 담아
마음 고운 사람이 찾아와
배를 타게 하고 싶다.
내 마음이 호수라면
그대의 마음 송두리째 담아
날마다 같이 있고 싶다
장미꽃 향기 흩어지고
수련 눈부시게 피어나는
6월의 호수가 내 마음이라면
수양버들 칭칭 늘어 놓고
그대만을 기다리겠다.
하얀 모시 옷 입고 오실.












의림지 유래
삼한시대에 축조된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의 저수지로 본래 "임지"라 하였습니다.
고려 성종 11년(992)에 군현의 명칭을 개정할 때 제천을
'의원현' 또는 '의천'이라 하였는데, 그 후에 제천의 옛 이름인
'의'를 붙여 의림지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축조된 명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구전에는 신라 진흥황 (540~575)때
악성 우륵이 용두산에 서서 흘러내리는 개울물을 막아 둑을 만든 것이
이 못의 시초라고도 하며, 그 후 700년이 지나 현감 "박의림"이
4개 군민을 동원하여 연못 주의를 3층으로 석축을 해서
물이 새는 것을 막는 한편 배수구 밑바닥 수문은 수백관이 넘을 정도의
큰 돌을 네모로 다듬어 여러 층으로 쌓아 올려
수문기둥을 삼았고 돌바닥에는 " 박의림"현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합니다.
호반둘레 약 2km, 호수면 158,677m2, 저수량 6,611,891m3,
수심 8~13m의 대수원지로 몽리면적은 289.4정보이며,
보수 당시 수구를 옹기로 축조한 흔적이 발견되어
삼한시대 농업기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수리시설보다는 유원지로서 그 명성을 더해가고 있는데
경승지로 호수 주변에 순조 7년(1807)에 새워진 '영호정'과
1948년에 건립된 '경호루' 그리고 수백년을 자란 소나무와 수양버들,
30m의 자연폭포 등이 어우러져 풍치를 더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 및 해빙기에 잡히는 공어(빙어)는
담백한 맛의 회 어로 각광받고 있는 명물이며,
순채는 임금의 수라상에 올릴 만큼 유명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3대 악성의 한분이며 가야금의 대가인
"우륵"선생이 노후에 여생을 보낸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야금을 타던 바위 우륵대(일명 제비바위, 연암, 용바위)와
마시던 "우륵정"이 남아 있습니다.


























의림지 1/무정 정정민
청풍명월의 고장 제천
그곳에는 의림지가 있다
물론 의림지만 있는 것은 아니다
충주호나 청풍호가 있다
그중 가장 궁금한 곳이 의림지다
우리나라 오래된 수리시설 중
김제의 벽골제는 몇 번인가 가본 곳이다
그에 반해 제천 의림지나 밀양 수산제는
거리가 멀어 가보지 못했다.
그래서 의림지를 가보고 싶었다.
드디어 월차를 낸 지난 수요일
혼자만의 여행을 시작했다.
하지만 생각한 것보다 멀었다
궁금증이 더 강하여 결국 가보게 되었지만
혼자만의 여행은 더 자유롭고 편안하기도 했지만
대화를 나눌 사람이 없다는 점은 단점이었다.
비가 오락가락한 가운데도
200킬로에 이르는 길을 다녀왔다
지금은 관광지로 더 알려진 의림지는
오래된 곰솔로 하여 더욱 아름다운 모습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