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 1
  

바람의 흔적/詩 사진 茂正 鄭政敏 버들가지 끝이 푸르다. 엊그제 그 가지 흔드는 바람이 지나더니 생긴 일이다. 처마밑 땅이 터지는 소리 수선화 아기 손 같은 잎 솟더니 오늘은 노란 꽃이 피었다. 바람이 지나더니 생긴 일이다. 산에서만 울던 작은 새 한 마리 종종거리며 달려와서 마당 위로 분주하다. 바람이 지난 자리에 봄을 쪼는 짓이다. 내 가슴에 이는 그리움 한겨울이 녹아내리는 소리 봄바람이 지나니 생긴 일이다.

>

  

수원화성/브리테니커 사적 제3호. 수원성곽(水原城郭)이라고도 한다. 1789년(정조 13) 정조가 아버지 장헌세자(사도세자)의 능을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의 화산으로 옮기면서 축조하기 시작했다. 1794년 2월부터 축조가 시작되어 1796년 9월에 완공되었으며, 둘레는 5,520m이다. 실학의 영향으로 거중기(擧重器)·활차(滑車) 등 근대적인 기기를 축성 공사에 사용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종래의 전통적인 축성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한국 성곽이 갖는 약점을 중국이나 일본의 축성술로 보완한 화성은 그때까지의 축성기법을 가장 잘 집약시켰다는 점에서 한국 성곽발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35년 일본이 '수원성곽'으로 문화재 지정을 했으나, 1996년에 '역사 바로세우기 사업'의 하나로 일제가 지정한 문화재에 대한 재평가작업을 하면서 '화성'으로 명칭을 환원했다.

  

수원화성/무정 정정민 오래전부터 가보고 싶었던 곳이다 세계문화유산이라 하니 얼마나 위대한 유산인가 이산이란 드라마를 보며 정조가 국방을 튼튼하게 하며 정치적 입지를 굳게 하려 해서 만든 것이라 하니 여러 가지로 생각이 많은 곳이다 또 다른 점은 이곳의 조망도 좋아 역사를 생각하지 않아도 잔디밭이며 버드나무 늘어진 길을 걸어 볼 만했다. 이번에 가까이 다가가 걸어보지는 못했다 날씨가 차가워 차로만 성곽을 두 바퀴 정도 돌았다. 주차할 곳이 있는가를 생각했고 어느 위치에서 둘러볼 것인가를 미리 알아 두려는 생각이 있어서였다 규모가 작지 않아 나처럼 체력이 약하면 단숨에 다 둘러보기는 쉽지 않겠다 싶었다. 지금보다는 푸른 잎이 돋아 나는 5월이면 더욱 좋을 것 같았다. 사진은 차로 돌며 외곽에서만 찍었다.

  

'시인 정정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송호수 13  (0) 2014.03.14
수원 화성 2  (0) 2014.03.13
우리 집 산책길에 오시는 봄  (0) 2014.03.11
버들 강아지 7  (0) 2014.03.10
봄에는 사랑하고 싶다  (0) 2014.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