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미산 진달래 2
  

두견화(杜鵑花) 詩 사진/무정 정정민 숨겨둔 그리움이다. 목마른 입술이 가지만 남아 삭풍 한설에 꺼칠해진 몸으로 참고 참아 미풍 지나는 봄을 기다렸다. 연분홍 그리움이 이제는 터져버려 화사한 꽃이 되었다. 진정할 수 없는 떨림 꽃술마저 떨리는데 아직도 그대는 푸른 옷을 걸치지 않나요? 산새 지나는 자리마다 붉게 타는 내 얼굴 보세요.

  

진달래/네이버 백과 지아비의 무덤을 지키던 여인의 피맺힌 슬픔이 꽃잎에 닿아 붉은색이 되었다는 진달래는 ‘이별의 한’을 상징한다고 해서 두견화 또는 귀촉화라고도 한다. 보통 성인 남자 키만큼 자란다. 가장 굵은 가지의 두께가 어른 손가락보다 굵게 자라지 못하면 잔가지들이 꾸불꾸불하게 나는 습성이 있어, 오목눈이나 붉은머리오목눈이 같은 작은 산새들이 많이 모여든다. 이른 봄 잎이 나기 전에 꽃이 먼저 피는데, 통꽃으로 끝이 5갈래 정도 갈라지고 꽃잎에 보라색 점이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어 밋밋하며, 가운데 잎맥이 유난히 두드러진다. 뿌리가 실처럼 가늘고 땅 표면을 따라 얕고 넓게 뻗어 쉽게 캘 수 있다. 진달래는 햇빛을 유난히 좋아한다. 그래서 큰 나무가 없거나 헐벗은 산에서도 진달래 군락을 쉽게 볼 수 있다. 60~7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야산이 진달래로 뒤덮여 있었던 것은 산 자체가 나무가 없는 민둥산이었기 때문이다. 80년대 이후 점차 산에서 진달래를 보기 어려워지는 것은 그만큼 산림이 우거져간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먹을 수 있는 식물에 ‘참’ 자를 붙이고 먹지 못하는 것에는 ‘개’ 자를 붙였는데, 진달래는 먹을 수 있어 ‘참꽃’이라 부른 반면 철쭉은 먹지 못한다고 해서 ‘개꽃’이라고 불렀다. 봄이면 찹쌀가루 반죽에 진달래 꽃잎을 올려 지져낸 화전이나 오미자즙 또는 꿀물에 진달래를 띄운 화채를 먹었으며, 진달래의 꽃잎을 따서 두견주라는 술을 빚었다.

  

'시인 정정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목련  (0) 2014.04.07
원미산 진달래 3  (0) 2014.04.06
원미산 진달래 1  (0) 2014.04.05
안양천 개나리  (0) 2014.04.03
안양천 벚꽃  (0) 2014.04.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