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부천 백만송이 장미원1
무정 정 정민
2014. 5. 21. 00:35
2014. 5. 21. 00:35
무정 정 정민
2014. 5. 19. 21:17
2014. 5. 19. 21:17
백마강
백마강
시.사진/무정 정정민
물새 우는 백마강
계절마다 새로운 꽃이 피련만
한번 가신 백제의 삼천궁녀
여전히 말이 없다.
무명 병사의 혼이 잠자는 곳
녹슨 병장기는 세월의 흔적을 말하고
그 통한의 시간을 돌아보는 나룻배는
날마다 백마강을 어루만진다.
고란사의 종소리 지금도 애달프다
말이 없는 백마강은
유유히 흐르지만
어찌 잊고 있을까
백제의 복원
마르지 않는 물과 같으리라







백마강
백마강에 고요한 달밤아
고란사에 종소리가 들리어오면
구곡간장 찢어지는 백제꿈이 그립구나
아~ 달빛 어린 낙화암의 그늘속에서
불러보자 삼천궁녀를
백마강에 고요한 달밤아
철갑옷에 맺은 이별 목메어 울면
계백장군 삼척님은 님 사랑도 끊었구나
아~ 오천결사 피를 흘린 황산벌에서
불러보자 삼천궁녀를 ,


백마강/옮긴 글
사자하(四泚河)·백강(白江)·마강(馬江)이라고도 한다.
그 범위는 정확하지 않지만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규암면
경계를 따라 흐르는 금강천(錦江川:또는 金剛川)이
금강에 합류하는 지점에서부터 부여군 석성면 위쪽까지를
백마강이라 부른다. 부소산(扶蘇山)을 끼고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심하게 곡류하는 사행하천이다.
부소산의 북쪽 사면을 침식하여 절벽을 이루고
부여읍 남부 일대에 넓은 퇴적사면을 발달시켰다.
공격사면인 부소산에는 낙화암이라 하는
높이 약 10m 가량의 침식애(浸蝕崖)가 있으며,
낙화암 상류 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강 가운데
조룡대(釣龍臺)라 하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이곳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적을 쫓아 금강을 건너려 할 때
강물 속에 교룡(蛟龍)이 방해하므로 교룡이 좋아하는 흰 말을
미끼로 조룡대 바위 위에서 잡아올렸다고 하여
강 이름을 백마강, 낚시했던 바위를 조룡대라 했다고 한다.
663년(문무왕 3)에 백제와 나당연합군과 일본의 수군이
격전을 벌였던 백촌강(白村江)의 싸움터가 백마강이라는 설이 있다.
백마강의 남부에는 넓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상이 높아 범람이 잦은 홍수 상습지역이다.
따라서 홍수피해를 막고 경지의 효율성을 증대시켜야 하며,
백마강의 자연경관은 백제권의
문화관광자원과 함께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백마강에서/무정 정정민
매표소를 지나 천천히 부소산성을 지났다
세월호 참사로 관광객도 없다는
관리인의 말을 들으며 안타까운 마음 금할 수 없었다.
자식을 잃은 부모 제자를 잃은 선생님
친구를 잃은 학생 선생을 잃은 제자
그리고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
얼마나 가슴 아플지 다 헤아리기 어려우리라
백제의 흔적을 찾아 올라가는 길에는
오랜 세월로 크게 자란 나무가 무성했다.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이 안되어 낙화암 바로 위에 있는
백화정에 올랐다.
바위에 높게 앉아 백마강을 바라보는 백화정
그 옆에 벚처럼 서 있는 천 년 소나무
아래로 구비쳐 흐르는 백마강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이 분명한데
그 역사는 아픈 사연이 많다
특히 삼천궁녀의 사연은 그렇다.
이곳에서 다시 고란사로 향했다.
가파른 경사로를 걸어 내려가자
초파일 연등이 걸려 있었다.
고란사를 지나 고란사 나루터로 향했다.
배를 타볼 요량이었다.
사람이 없어 운행을 자주 하지 않았다
승선인원이 7명이 되어야 한다는데
대기자가 나와 아내뿐이라 포기하고
돌아서려는데 일가족 4명이 이내 당도해서
그들과 같이 배에 올랐다.
고란사 나루터에서 구드래 나루터 까지는 5분의 거리
이렇게 백마강에서 배를 타보았다
낙화암 전설과 백마강 전설을 들으며
이 강에 투신한 삼천궁녀
그리고 격렬했던 전쟁을 생각했다.
모두 역사의 뒤안길이지만
돌아보며 아픈 역사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
무정 정 정민
2014. 5. 17. 21:27
2014. 5. 17. 21:27
부여 부소산 백화정/낙화암
낙화암
시.사진/무정 정정민
패망한 나라에 남아
침략국의 포로로 사는 일
그것은 죽는 일보다 못하다
욕되게 사느니
차라리 한 점 꽃잎으로 지리라
천길 낭떠러지
푸른 물이 얼마나 두려웠을꼬
꽃다운 나이
살아갈 날이 많다 하여도
내 나라 내 땅이 아니면
수중왕국에 살리라 하였다.
백화정 높이 앉아
낙화암 내려다보며
흐르는 백마강에 그 혼을 위로하니
만고 푸른 천년송도
그 충절 알더라




꿈꾸는 백마강 /배호
백마강 달밤에 물새가 울어
잃어버린 옛날이 애달프구나
저어라 사공아 일엽편주 두둥실
낙화암 그늘에서 울어나 보자
고란사 종소리 사무치는데
구곡간장 올올이 찢어지는 듯
누구라 알리요 백마강 탄식을
깨어진 달빛만 옛날 같구나







낙화암/옮긴 글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하자 백제의 3,000 궁녀가
백마강으로 떨어져 죽었다는 전설이 전하는 곳이다.
백제 멸망 이후 타사암을 미화하여 낙화암이라 부른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고기에는 부여성 북쪽에
큰 바위가 있어 아래로 강물을 임하였는데 의자왕과 모든 후궁이
함께 화를 면치 못할 줄 알고 차라리 자살할지언정
남의 손에 죽지 않겠다 하고 서로 이끌고 와서
강에 투신하여 죽었다 하여 타사암(墮死巖)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의자왕은 웅진성에서 항복한 후,
당에 압송된 후 병으로 죽었다. 3,000 궁녀도 부여성이 함락된 후
당의 군사들을 피해 도망치던 아녀자들이었다는 설이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바위면에 '落花岩'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바위 위에는 백화정(百花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낙화암에서/무정 정정민
역사의 현장 낙화암
삼천궁녀가 치마를 둘러쓰고
투신하였다는 바위
나라 없는 백성으로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들은 이미 알고 있었나 보다
죽는 일은 정말 두렵고 떨리는 일인데
천길 낭떠러지로 스스로 투신하여
백마강의 혼이 있었다니
그 슬픈 사연이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온 백성이 합심하여 나를 지켜야 함에도
왕은 사치와 술로 세월을 허송하여
결국 스스로 패망을 자초한 것은 아닌가
백제 후손의 한 사람으로
아픈 역사를 돌아보았다.
부소산은 높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가보고 싶었던 낙화암과 백마강
늦은 나이에 가보게 되어 다행이었다
무릎이 시큰거렸지만, 더 늦어지면
이만한 곳에도 가보는 것은 어려우리라
천천히 걸어 봄날의 부소산에 다녀왔다.
|
무정 정 정민
2014. 5. 17. 14:34
2014. 5. 17. 14:34
김포 태산 패미리파크
|
도예원陶藝園
詩 사진 무정 정정민
한낱 흙이지 않던가
어디에나 있는 흙이라
눈여겨보기나 했던가
흔하디흔한 것이 흙인데
흙이라 해도 보통 흙이 아닌 거야
물과 만나 끈기가 생긴데다
다양한 성형을 하여
천도가 넘는 고온에
한 삼일 푹 달구었더니
겉모양 반지르르하고
모양 또한 곱기만 한 그릇이 되었다
어디 그릇의 기능만 하던가
작가의 땀과 혼이 담기니
도예라 했다.
마음을 정리하고 싶은 사람
외로움을 견디기 어려운 사람
사랑을 만들고 싶은 사람
너도나도 모여
자신만의 도예품을 만드는 곳

































|
김포 태산 패미리파크/무정 정정민
한강 둑길을 따라 김포로 가다 보면
강화도 조금 못미처 태산 패미리파크가 있다
야생화 어린이 수영장이 있어
날씨가 더운 여름이면 인근의 많은 가족이
나들이 가는 곳이다.
가끔은 나도 그곳으로 가서 야생화를 보기도 하고
시원한 계곡 물에 발을 담그거나
주변 둘레길을 걸어본다.
이번에는 어떤 꽃이 피었을까 궁금하여 갔더니
창포가 피어나 있었다
무엇보다도 호수 옆에 있는
도자기 전시실과 체험장을 중심으로 둘러보았다.
다양한 그릇 색상 용도가 재미있다
하트모양의 붉은 조형물은 모두가 도자기다
의자도 도자기 구석구석 도자기 조형물로
채워진 곳은 가볍게 산책하며 감상하기 좋았다.
|
무정 정 정민
2014. 5. 16. 07:35
2014. 5. 16. 07:35
은행나무 가지에 앉은 뽀리뱅이
|
|
무정 정 정민
2014. 5. 15. 19:29
2014. 5. 15. 19:29
천왕산 찔레 꽃
찔레 꽃 2
시 사진/무정 정정민
나뭇가지 욱어진
산모퉁이 외진 길
아무도 찾지 않아
눈물 나게 외로운 곳
하얀 찔레꽃 피었다.
향기야
견줄 꽃이 없지만
자신을 들어 내어
화려한 화단에 피지 않고
가만히 피어나
나비와 향기를 나누는
겸손하여 하얗게 핀
민족의 꽃
순결한 내사랑의 꽃
*************************
찔레꽃은 외진 길
사람의 발길이 많지 않은 곳에 피어
진한 향기를 내뿜는 것을 봤다.
꽃이 화려하지 않아
화단에 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향기는 대단하여
멀리에서 찔레꽃이 핀 것을 안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의 향기다.
잘난 체 하지 않고
겸손하지만 그것이 향기로 느껴지는 사람





















찔레꽃 1
詩. 寫眞/茂正 鄭 政敏
찔레꽃 오늘도 피었구나!
서럽게 아버님 그리다.
붉은 눈물마저 질식하여
하얗게 피었구나!
목이 터지도록, 발이 부르트도록
부르고 헤매도
사랑하는 동생마저 보이지 않아
넋이 되어 핀 하얀 꽃
그 진한 향기 내 즐기지만
고려의 한, 천년의 한
찔레의 한이 가슴깊이 서린다.
하안 꽃 찔레꽃 향기 진한 꽃
민족의 꽃이여
피고 또 피고 향기 날려
찔레의 통곡을 기억하게 하라.





찔레꽃 전설
꽃말: 가족에 대한 그리움, 자매간의 사랑, 신중한 사랑.
옛날, 고려가 원나라의 지배를 받았을 때입니다.
당시 고려에서는 해마다 어여쁜 처녀들을
원나라에 바쳐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누가 오랑캐의 나라에 끌려가길 바랍니까?
할 수 없이 조정에서는 "결혼도감"이란 관청을 만들어
강제로 처녀들을 뽑았습니다.
이렇게 강제로 뽑혀 원나라에 보내지는 처녀를
"공녀"라 했습니다.
어느 산골 마을에 "찔레"와 "달래"라는 두 자매가
병든 아버지와 함께 살았습니다.
가난한 살림에 자매는 아버지의 약값을 구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자신의 몸보다 두 딸이
공녀로 뽑혀 원나라로 끌려갈 것이 더 걱정이었습니다.
"찔레야, 달래야. 너희는 어떤 일이 있어도
공녀로 끌려가서는 안 된다!."
"설마 이 산골에까지 관원들이 오려고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두 딸은 아버지를 안심시키려고 애썼습니다.
하지만, 집에만 숨어 지낼 수는 없었습니다.
나물도 뜯고 약초도 캐어 살림을 도와야만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밖으로 나갈 때면 얼굴에 검댕을 바르고
누더기를 입었습니다.
그날도 얼굴과 몸을 누더기로 가리고 산으로 갔습니다.
한참 약초를 캐고 있는데 관원들이 나타났습니다.
"여기 좀 와보게. 예쁜 처녀들이 둘이나 있네!"
순식간에 관원들에게 둘러싸인 찔레와 달래는
어쩔 줄을 몰랐습니다.
"나리, 살려 주십시오. 병들어 누워 계신 불쌍한 아버지가
저희를 기다리십니다. 제발 데려가지 마십시오."
"살려달라니 어디 죽을 곳으로 간다더냐?
좋은 곳으로 보내주마. 어서 가자."
아무리 애원해도 막무가내였습니다.
할 수 없이 찔레가 말했습니다.
"나리, 저희는 자매입니다.
둘 다 끌려가면 병든 아버지는 어쩌란 말입니까?
제가 갈 테니 동생은 집으로 돌려보내 주십시오."
"나리 아닙니다. 동생인 제가 가야죠.
그러니 제발 언니는 놓아주십시오."
자매가 눈물을 흘리며 서로 가겠다고 애원하자!
관원들도 코끝이 찡했습니다.
"사정이 딱하구먼. 좋아, 너희 우애에 감동하여
한 사람만 데려가겠다."
관원들은 달래를 풀어주고 언니인 찔레만 끌고 갔습니다.
"달래야 아버지 잘 모셔야 한다."
"언니, 언니! 어쩌면 좋아요!"
자매는 서럽게 이별했습니다. 다른 공녀들과 함께
원나라에 간 찔레는 다행히 좋은 주인을 만났습니다.
비단 옷에 맛있는 음식,
온갖 패물이 넘치는 나날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찔레는 동생 달래와 아버지 생각뿐이었습니다.
동생과 함께 날마다 올랐던 뒷산도 그리웠습니다.
"달래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아버지는 아직 살아계실까?"
밤낮없는 고향 생각에 찔레는 몸도 마음도 약해졌습니다.
"허허 큰일이야. 우리 찔레가 고향을 그리워하다.
죽게 생겼구나. 이 일을 어찌할꼬?"
주인은 며칠 동안 고민하다가 결국
찔레를 고국으로 돌려보내기로 하였습니다.
"찔레야, 그렇게도 고향이 그리우냐? 할 수 없구나.
집에 보내주마. 그러니 어서 가서 기운을 차리고 일어나거라."
주인의 고마운 말에 찔레는 눈물이 앞을 가렸습니다.
"나리, 정말이십니까? 이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그날부터 기운을 차린 찔레는 얼마 뒤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고향을 떠나온 지 10년 만이었습니다.
고향 마을에 돌아온 찔레는 꿈에도
그리던 옛집으로 달려갔습니다.
"아버지, 어디 계세요? 달래야, 내가 왔다. 언니가 왔어!"
하지만, 대답이 없었습니다.
아니, 세 식구가 오순도순 살던 오두막은 간 곳 없고,
그 자리엔 잡초만 우거져 있었습니다.
"아버지, 아버지! 달래야, 어디 있는 거니?"
마침 찔레의 목소리를 들은 옆집 할머니가
버선발로 달려나왔습니다.
"아이고, 이게 누구야? 찔레 아니냐? 응?"
"할머니, 안녕하셨어요?
그런데 우리 아버지랑 달래는 어디 있나요?
집은 또 어떻게 된 건가요?"
"에구, 쯧쯧, 불쌍하게도..."
할머니는 치맛자락으로 눈물을 훔쳤습니다.
"할머니, 무슨 일이에요? 얼른 말씀해 주세요."
"찔레 네가 오랑캐 나라로 끌려간 뒤,
네 아버지는 감나무에 목을 매어 죽었단다.
그것을 본 달래는 정신없이 밖으로 뛰쳐나가더니,
그 뒤로 소식이 없구나."
찔레는 주저앉아 울부짖었습니다.
가슴이 찢어지는 것만 같았습니다.
그날부터 찔레는 산과 들을 헤매다녔습니다.
"달래야, 달래야! 어디 있니? 제발 돌아오렴!"
가을이 가고 겨울이 왔습니다.
무심한 계절은 눈도 뿌렸습니다.
외로운 산길에 쓰러진 찔레 위로 눈이 덮였습니다.
봄이 되자 찔레가 쓰러진 산길에 하얀 꽃이 피었습니다.
찔레 고운 마음은 눈처럼 새하얀 꽃이 되고,
찔레의 서러운 운명은 빨간 열매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그 꽃을 "찔레"라 이름 지었습니다.


천왕산 찔레 꽃/무정 정정민
찔레가 아주 많았다.
계곡에 가득했다.
지난주에 피어나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그때 생각으로는 다음 주가 되면
온 산이 찔레 향기로 가득 할거라 생각했다
집에서 300미터 정도의 거리에 있는 산
가깝기도 하고 다양한 나무도 있어 좋다
참나무 아카시아 상수리나무 소나무가 주로인데
얼마나 키가 큰지 숲 속으로 들어가면
하늘이 잘 보이지 않는 곳이 많다
아직 돗자리를 가지고 가
누워 책을 본 적이 없어
그것도 해보고 싶고
커피도 가지고가서 산바람 느끼며
차도 한잔하고 싶다.
작년에 썼던 글인데 다시 읽어 본다
올해라고 찔레 꽃을 보지 않을 수 없다
야생화 길을 걸어가며 향기에 감동하고
소박한 모습에 미소지어 보았다.
|
무정 정 정민
2014. 5. 15. 07:37
2014. 5. 15. 07:37
|